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고등학생을 위한 보고서 작성편 - 본론과 결론

by 다곰킴 2024. 3. 31.

보고서를 작성을 시작하는 시즌입니다. 

처음은 막막하겠지만 작성하다 보면 어느덧 익숙해지는 순간이 올 것입니다! 

저번에 이어 이번 글에는 보고서 중 '본론과 결론'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정확히 정해진 정답은 없으니 작성하는 글(보고서)의 흐름에 맞추어 참고하면 좋을 듯합니다! 

 

#본론

본론에서는 자신의 탐구 과정이 잘 드러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탐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신문기사 혹은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합니다. 인터뷰법 혹은 자신의 SNS에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통계자료로 활용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만약 실험을 계획한다고 하면 탐구과제를 분석 후 가설을 설정해야 합니다. 가설에 따른 실험방법 설계 및 실험과정이 보고서의 본론에 들어가게 됩니다. 실험에서 나온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변환하여 실험결과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실험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이론적으로 접근해야 하므로 자료조사, 설문, 통계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DBpia, 과학기술지식인프라, 국회도서관'등을 통해 자료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본론에서 가장 중요한 건 내가 한 탐구가 담겨져 있어야 합니다. 내가 왜 이 탐구를 하게 되었는지, 나의 지적 호기심이 탐구로 해결되는 건지 단순 자료조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지 계속 경계해야 합니다. 

 

#결론

결론은 여러분들이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 혹은 주장을 정리해야 합니다. 실험같은 경우에는 가설에 대한 답을 내놓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분야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이후 탐구 방향은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작성합니다. 탐구를 하며 보완할 점이나 의의를 작성하는 것도 좋습니다. 

 

#출처

반드시 출처(참고문헌)를 꼭 작성해주세요! 

 

도서

저자명, 『책 제목』 ,출판사,출판연도,인용쪽수

논문

필자명, 「논문명」, OO대학교 OO학위 논문, 출판사, 출판연도, 쪽수

사전

"항목", 사전명 , 출판사, 출판연도

인터넷자료

사이트명, "검색어", URL, (검색일)

기사

기자명, "기사명", 매체명, 게재일, URL

 

 

무엇보다 자신만의 언어로 처음부터 끝까지 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너무 어려운 것 같으면 먼저 작성해 놓은 다른 사람들의 보고서(혹은 논문)를 한번 살펴보며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본론과 결론 보고서 작성법

 

2024.03.22 - [분류 전체 보기] - 2024 고등학생을 위한 보고서 작성 편 - 서론 편

 

2024 고등학생을 위한 보고서 작성편 - 서론편

사실 주제를 정하면 그다음부터는 굉장히 수월하게 진행됩니다. 보고서는 크게 서론-본론-결론으로 나누어집니다. 소위 우리가 말하는 인서울은 학종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탐구 보고서를 잘

tofd.tistory.com

2024.03.17 - [학교생활과 기록] - 2024 고등학생을 위한 보고서 작성법 - 주제 편

 

2024 고등학생을 위한 보고서 작성법 - 주제편

오늘은 보고서 작성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보고서는 생기부의 역량을 드러내기 위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론 학종에 도움도 되지요! 대학을 가기 위해 탐구활동을 하는 것은 아니

tofd.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