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포스팅에서 유튜브는 사용하면 안 된다고 하였습니다.
그 밖에도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용어들이 몇 가지가 있는데,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문자는 되도록 한글로 입력하고 부득이한 경우 영문으로 입력할 수 있다고 적혀있습니다.
영문으로 입력하는 경우는
외국인 성명, 도로명 주소에 포함된 영문, 일반화된 명사(CEO, PD, UCC, POP, CF, TV, PAPS, SNS, PPT 등)는 사용가능합니다. 고유명사(도서명, 저자명 등)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잠깐 언급하였지만 구체적인 특정 대학명, 기관명(기구, 단체, 조직 등 포함), 상호명, 강사명은 입력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든 기관명이 입력되지 않는 것은 아니고 교육관련기관(교육부 및 소속기관, 시도교육청 및 직속기관, 교육지원청 및 소속기관)의 경우에는 기관명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교육부 소속기관이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는데, 대한민국학술원, 국사편찬위원회, 국립국제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 교원소청심사위원회, 중앙교육연수원 이 있으며, 시도 교육청 및 직속기관, 교육지원청 및 소속기관에는 교육 관련기관이 직접 운영하는 기구, 단체, 조직을 포함합니다. 단, 봉사활동 실적의 장소 또는 기관에는 구체적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저도 질병관리청이란 기관을 적었다가 이를 설명하는 다른 언어로 대체한 경험이 있습니다.
강사명도 제한되는데, 강사명은 특정 강사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참여한 강의 또는 교육활동의 강사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인강을 보고 스스로 학습했다는 이에 해당되므로 다른 표현으로 바꾸어서 작성해야 합니다.
그러면 기재 유의어의 대체 표현에 대한 예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경기도교육청자료)
예시일 뿐이므로 각 영역별 입력 주체는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을 준수하여 적절한 용어로 기재하길 바란다는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기재 유의어 | 대체 표현 |
Google(구글), NAVER(네이버), Daum(다음) 등 | 포털사이트 |
Google Classroom(구글 클래스룸), EBS 온라인클래스 등 | 학습 플랫폼 |
TikTok(틱톡) 등 |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
Gater Town(게더타운), ZEPETO(제페토) 등 | 메타버스 플랫폼 |
miricanvas(미리캔버스), mangoborad(망고보드), Canva(캔바) 등 | 디자인 제작 플랫폼 |
Google TV(구글 티비), YouTube(유튜브), TIVING(티빙), watch(왓차), netflix(넷플릭스), wave(웨이브), disneyplus(디즈니플러스) 등 | 동영상 플랫폼, 동영상 공유 서비스 |
Vllo(블로), Premiere Pro(프리미어 프로), Final Cut Pro(파이널 컷 프로) 등 | 영상 제작 프로그램, 영상 편집 프로그램 |
classting(클래스팅) 등 | 학습 플랫폼, 클래스관리 도구 |
YouTuber(유튜버) 등 | 동영상 크리에이터, 동영상 제공자, 개인 미디어 제작자 |
KakaoTalk(카카오톡) 등 | 메신저, 메신저 서비스 |
Instargram(인스타그램), LINE(라인), Twitter(트위터), Meta(메타) 등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
ifland(이프랜드) 등 | 메타버스 소셜커뮤니케이션서비스 |
Padlet(패들랫), ThinkerBell(띵커벨), Allo(알로) 등 | 온라인 협업 툴, 협업 플랫폼, 온라인 협업 플랫폼 |
Google Docs(구글문서) 등 | 온라인 문서 편집기 |
careernet(커리어넷), majormap(메이저맵) 등 | 진로정보망, 진로 정보 사이트 |
Holland(홀랜드) 검사 등 | 직업선호도 검사 |
KTX(케이티엑스), SRT(에스알티) 등 | 초고속 열차, 고속 열차 |
UN(유엔), EU(유럽연합), WHO(세계 보건 기구), WTO(세계무역기구),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IMF(국제통화기금), UNESCO(유네스코), IAEA(국제원자력기구),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등 | 국제 기구 |
Zoom(줌) 등 | 화상 회의 |
MBTI(엠비티아이) 등 | 성격유형 검사 |
VR(브이알) 등 | 가상현실 |
AR(에이알) 등 | 증강현실 |
HTML(에이치티엠일) 등 |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웹 페이지 제작 언어 |
CSS(씨에스에스) 등 | 스타일 시트 언어 |
iPad(아이패드), Galaxy Tab(갤럭시탭) 등 | 태블릿PC |
chrome book(크롬북) 등 | 휴대용 컴퓨터 |
제 기준, 주로 사용하는 부분에 색을 표시하였습니다.
저도 헷갈렸던 것들이 몇 개 있었네요 ㅎㅎ
여튼 생기부 시즌에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적재적소에 잘 사용하시면 좋을 듯합니다!